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신생아 동시 접종해도 될까요?

by 건강의 달인 2021. 6. 23.
반응형

신생아 동시 접종해도 될까요?

 

 

자녀를 키울 때 예방접종을 많이 하게 됩니다. 2, 4, 6개월과 돌에 접종을 주로 하게 됩니다. 여러 개의 백신을 동시에 접종할 때는 어떤 병원의 경우 하루 동안 한 번에 다 맞추기도 하고, 어떤 병원은 한두 개씩 몇 번에 걸쳐서 나누어 접종하기도 합니다. 병원마다 통일되지 않고, 어떤 병원은 동시 접종을 권자하고, 어떤 병원은 동시접종을 하지 말라고 하는데 어떤 것이 맞는지 지금부터 동시 접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예방접종의 의학적 지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소아과학회는 가장 최근 지침인 2018년 예방접종 지침서에 여러 가지 백신을 맞아야 한다면 같은 날 모두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나와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동시 접종을 하게 되면 예방 접종을 위한 병원 방문 횟수를 줄어들기에 예방접종률을 높일 수 있고 적기에 접종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시 접종이 권장된다 라고 되었습니다.

 

결론은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동시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질병관리 본부인 CDC에서는 여러 가지 백신을 접종해야 할 경우 하루에 다 접종하라고 밝히고 있고, 따로 접종하지 말라고 'Should not'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동시 접종을 강력 권장하고 있습니다.

 

 

동시접종의 장점

동시접종을 할 경우 병원 방문 횟수를 줄이고 접종을 빼먹을 수 있지 않다는 장점과 더불어 동시접종할 경우 각각 따로 접종하는 것과 비교해도 이상반응의 크기도 차이가 없고 따른 맞는 것보다 아이들에게 스트레스를 적게 줄 수 있기에 동시접종이 아이들에게도 더 낫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따로 접종하나 동시에 접종하나 의학적 차이는 없고, 접종 후 열나거나 보채는 것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1일 최대 백신 접종 횟수는?

그렇다면 하루 몇 개의 백신을 최대한 맞을 수 있을까요?

미국 cdc는 하루에 몇 개를 접종하든 상관없다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upper limit(상한치)가 없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미국에서 접종한 우리나라 부모가 따로 맞추고 싶어서 미국 소아과 의사에게 따로 맞추려고 얘기했다가 한참 설명을 듣고 난 후에 동시 접종을 했다 고 할 정도로 동시 접종은 접종하는 아이를 위해서 도움이 되는 접종 방법입니다.

 

만약 여러 개의 백신을 맞아야 한다면, 하루에 맞을 수 있는 모든 백신을 다 맞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이게 법으로 정해질 정도로 명확하게 규칙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동시 접종을 하지 않고 따로 접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따로 접종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얘기는 의학적 상식과 맞지 않음을 아시고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따로 접종할 경우라면 몇 가지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우리나라에서 접종하는 백신은 같은 날 동시에 모두 접종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동시 접종하지 않는 경우는 생백신과 생백신은 같이 맞을 수 있으나, 따로 맞는 경우는 4주 이상 간격을 두고 접종을 해야 됩니다.

 

생백신과 사백신 또는 사백신과 사백신 간의 간격은 간격이 필요 없습니다. 생백신과 생백신 사이에만 4주 간격을 두면 됩니다. 

 

※ 생백신과 사백신

생백신 : 백신으로 접종되는 균이나 바이러스는 병원성을 갖지 않아 감염을 일으키지 않고 면역력을 줄 수 있는 백신 중 약독 병원체를 사용하는 백신입니다. 천연두 백신, 결핵, 관경병 등이 생백신입니다.

 

사백신 : 생백신을 사용했을 때 면역력이 저하되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질병이 발생할 수 있기에 생긴 백신입니다. A형 B형 간염 백신 등이 있습니다.

 

만일 생백신과 생백신을 같은 날 맞지 않고 띄어서 접종할 경우 4주 이상 간격을 두지 않고 접종한 경우에는 접종을 다시 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동시 접종시 주의사항

간혹 동시접종 후 고열이 발생하거나 동시 접종을 해서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이 많습니다.

이는 오해인데요. 이렇게 열이 나는 아이들은 동시접종을 하거나 따로 접종을 해도 동일하게 열이 발생하고, 열이 더 높게 나거나 하지 않습니다.

 

만약 따로 맞았다고 하더라도 맞을 때마다 열이 날 수 있기에 차라리 동시에 접종하여 이상반응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반응을 줄여야 아이도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니 동시 접종이 유리한 것입니다. 

 

다만,

돌 때 접종하는 일본뇌염은 1주에서 4주 간격을 두고 맞아야 하고, 독감을 첫 해에 맞는 경우에는 2번을 4주 이상 간격을 두고 접종하는데 이를 2번 맞는 접종을 기준으로 하여 2번 나눠서 접종하는 것은 괜찮습니다.

 

여러 접종을 한 번에 맞을지 따로 맞을지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결론은

동시 접종이 아이에게 더 좋다는 것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