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끊기와 주의점은?
출생 후 모유수유를 하다가 직장 복직이나 다른 이유로 모유를 끊기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는데요. 지금부터 모유수유 끊기와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아기의 경우 모유수유를 하다가 모유를 끊고 분유로 바꾼 후에는 분유를 전혀 안 먹어서 고민인 부모들이 제법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돌까지 모유를 먹였는데, 모유를 너무 많이 먹어 분유로 바꿨다고 하는데, 분유를 전혀 먹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모유에서 생우유로 변경할 때는 모유를 끊고 바로 바꿔서는 안 됩니다. 분유를 늘리면서 그 늘리는 양만큼 모유를 줄여가는 방식으로 교체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유가 400cc에서 500cc가 되면 모유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데, 일반적으로 2주 이상 간격을 두고 하면 무리없이 끊을 수 있습니다. 핵심은 서서히 조절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일부의 경우 모유를 끊고 분유를 먹었을 때 문제없이 분유를 잘 먹기도 하지만 상당히 많은 아이들이 모유를 끊은 후에는 분유를 먹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에 점진적인 교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아빠가 직장다니는데 사정으로 이직을 하려고 할 때는 새 직장을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니 이직을 하려면 그만두고 직장을 찾기보다, 직장을 다니는 중에 새로운 직장을 구해야 문제가 없습니다.
즉, 모유에서 분유나 우유로 변경할 때는 서서히 조절하여 최종 400~500cc 정도 분유(우유)를 먹게 될 때 모유를 끊는 방식을 선택해야 함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분유 물 적정 온도는? (0) | 2021.06.25 |
---|---|
신생아 동시 접종해도 될까요? (0) | 2021.06.23 |
신생아 접종 후 목욕해도 괜찮을까? (0) | 2021.06.21 |
신생아 바운서(요람) 사용해도 될까? (0) | 2021.06.18 |
신생아 녹색변 괜찮은가요? (1) | 2021.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