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신생아 사시의 심각성과 교정은?

by 건강의 달인 2021. 6. 8.
반응형

신생아 사시의 심각성과 교정은?

 

 

눈이 모여서 보이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물론 신생아 때부터 그런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들은 원래 다 그러다 좋아진다고 하지만 그렇게 그게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지금부터 잘못하면 큰일이 날 수 있는 아기의 사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시란?

눈은 두개인데 두 눈은 항상 같은 곳에 초점을 맞추고 봅니다. 두 눈이 같은 곳을 바라보면서 거리감을 느낄 수 있고 입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시는 두 눈이 동시에 같은 곳을 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부모가 자녀의 사시 증상을 잘 파악하는 경우도 있지만 남들이 봐서 이상하다고 해서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아기 사진을 보다가 우연히 눈이 모여 보여서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시의 증상은 눈을 봤을 때 눈이 모여 보이는 사시가 있고, 두 눈이 한 곳을 보지 않고 서로 다른 곳을 보는 사시도 있습니다.

 

그리고 TV나 물건을 볼 때 아이가 고개를 옆으로 돌려서 가지미처럼 눈을 옆으로 돌려가며 앞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외에 햇빛이 쨍한 곳에 갔을 때 아이가 눈을 찡그리는 경우에도 사시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사시는 외관상의 문제가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스스로 느끼기 시작하면 늦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한 사시의 경우에는 약시의 위험성도 있습니다. 만약 사시가 심한 경우 두 눈이 같은 곳에 초점이 맞지 않으면 이중으로 보이고 혼란스럽게 되는데 아이의 두뇌는 그것을 막기 위해서 사시가 발생한 눈 중 한쪽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무시하고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이것이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아이의 눈은 어릴때부터 잘 보이지 않다가 사용하면서 서서히 시력이 발달하는데 사시가 있는 눈 중에서 한쪽 눈을 사용하지 않으면 그쪽 눈의 시력이 발달하지 않게 되어서 나중에는 안경으로도 교정할 수 없는 약시가 될 수 있습니다.

 

 

 

양안시 발달 장애

심하지 않는 사시의 경우는 시력과는 별 연관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시력이 약해지면 사시가 더 심해질 수는 있습니다. 만일 신생아 때부터 심한 사시가 있다면 양쪽 눈을 동시에 사용하는 양안시 발달에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눈이 같은 것을 보고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데 서로 다른 곳을 보면 이게 불가능해집니다.

오래 내버려두면에 눈을 제대로 사용하는 양안시가 되면 입체감을 느끼는 입체시가 발달하는데 심각한 사시를 오래동안 내버려 두면 두뇌의 양안시를 담당하는 부분에 세포들이 사라져서 나중에 사시를 수술로 교정해도 입체시는 회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시의 증상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자녀는 바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조기치료

사시는 생각보다 많습니다. 사시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 심해지고 시력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시가 의심이 되면 안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물론 몇 개월 되지 않는 신생아라도 사시가 확실한 경우나 눈이 모여 보이거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면 바로 안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사시 치료의 효과는 빠를수록 어릴수록 좋기 때문에 수술이 필요한 경우 안과의사와 상의해서 수술시기를 잡아야 합니다.

 

물론 이것이 빠를 수도 있고 느릴 수도 있기에 안과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수술 할 정도의 사시는 눈 운동이나 약으로 좋아지지 않습니다.

 

 

가성 사시

가성 사시라는 것도 있습니다. 미간이 넓은 동양인에게서 흔한 것으로 이는 대부분 부모들이 말하는 사시입니다. 아기들의 경우 두 눈이 같은 곳을 바라보는 데도 사시처럼 보이는 것으로 가상 사시는 진짜 사시가 아니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얼굴이 자라면서 저절로 좋아집니다.

 

사시가 저절로 좋아진다는 것은 대부분 가성 사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사시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습니다.

 

사시에는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간헐성 외사시와 조절내사시 등 복잡한 사시 종류들이 있지만 세부적인 질환은 부모님들께서 미리 알 필요가 없습니다.

 

일단 아기 눈에 이상이 있다면 1~2개월 어린 아기라도 예방접종할 때 소아청소년과 의사에게 꼭 문의하고 확인해야 합니다.

 

사시가 의심될 때는 어릴 때부터 확인하고 문제가 있으면 바로 치료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