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먹다 잠드는 경우 어떻게 해야하나?
요즘 신생아를 키우는 부모들은 아기가 원래 조금 먹고 자는 것이 정상인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후조리할 때 아기를 신생아실에 맡기고 아기 수유하라고 콜 해서 가면 아기 울고 있고, 우는 아기에게 먹이면 조금 먹다가 아기는 자게 됩니다.
힘든 엄마는 아기를 다시 맡기고 오면 조금 후에 또 깨서 먹으려 할 때는 산후조리원에서 엄마를 다시 부르기 힘드니까 신생아실에서 분유를 먹이는 일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부터 먹다 자는 아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원칙은 그렇습니다. 신생아 시기에는 한번 수유할 때 한쪽 젖을 15분 이상, 길게는 50분까지 먹여도 되는데, 한쪽 젖을 이렇게 충분하게 먹이고 한쪽 젖을 다 먹으면 다른 쪽 젖도 같이 먹어야 합니다.
분유를 먹일 때 한 번에 충분한 양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신생아 초기에는 충분히 길게 먹지 않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원래 아기들은 출생 후 하루 정도가 지나면 잠이 많아지고 분만 도중에 사용한 다양한 약물이나 아기를 신생아 실에 두는 등의 조치 때문에 충분히 먹지 않고 먹는 도중에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미숙아로 태어난 경우 힘이 없어서 길게 먹지 못하고 먹는 도중에 잠들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산후조리원에서 24시간 모자동실을 하지 않고 신생아실에 아끼는 맡기면서 배고파할 때 바로 수유를 하지 않고 울 때 수유를 하는 일이 생기면서 조금 먹다가 자는 아기들이 더 많아졌습니다.
조금 먹었으면 다음에 더 먹이면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하시는 부모도 있는데 쉬운 문제가 아닙니다.
이렇게 한번 수유할 때 길게 먹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모유를 충분히 먹이는데 중요합니다. 그리고 가슴에 젖을 완전히 비울 수 있어 모유의 양을 늘리는데 중요합니다.
한 번에 충분히 먹는 것은 무유를 먹일 때뿐만 아니라 분유를 먹을 때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이렇게 한번에 충분히 먹는 습관을 들이면 아기 위가 커져서 점차적으로 수유 간격이 늘어나게 되고 아기 스스로 먹는 시간을 일정하게 만들기 쉬워져서 나중에 밤잠을 길게 자서 밤새 아무것도 안 먹어도 잘 자는 습관 들이기가 쉬워집니다.
즉, 먹는 양을 늘리면 아기 키우기 쉬워지고 아기도 일상을 편하게 살아가게 적응하기가 쉬워집니다.
그래서 아기를 쉽게 키우려면 한 번에 충분히 먹고 먹다 자는 아기들은 깨워서 먹이는 습관을 신생아 초기부터 들이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먹다 자는 것도 습관입니다. 신세가 초기에 먹다 자는 습관이 잘못 든 아이들은 계속 먹다 자는 습관이 지속되고 나중이 되면 고치기가 힘들어지는 것이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한번에 충분히 먹지 않고 잠들면 모유수유아의 경우는 앞쪽 젖만 먹게 되어서 전유 후유 불균형으로 변이 묽어지고 자주 보게 되어 엉덩이가 헐 수도 있습니다. 또한 아기가 불편해질 수 있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먹다가 잠자면 한 번에 충분히 먹고 충분히 젖을 비우지 못 할 수 있는데, 그럼 젖의 양이 줄 수 있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그리고 한번에 충분히 제대로 먹지 못하면 점점 더 힘이 없어서 먹다가 잠드는 것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나중에는 힘이 없어서 배고픈 것도 잊고, 잘 안 먹고 계속 잘 수 있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신생아 시기에는 조금 먹다가 잠들면 깨워서 먹여야 합니다. 하지만 먹다 잠들면 깨우는 것보다는 먹다가 잠들지 않게 미리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너무 배고프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말하면 배고파할 때 바로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배고파서 울기 전에 먹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너무 배고파서 울 때 먹이면 아기는 이미 기운이 빠져서 힘들어서 먹다가 잠들기 쉽습니다.
아이가 먹고 싶어 하는데 좀 졸려 보이면 깨워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옷을 가볍게 입히고 시원하게 해줘야 하고, 기저귀도 갈아주고 한 번 더 안아주고 말도 걸어주고 스킨십도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먹는 도중에 아기를 깨우면서 아기와 반응을 하면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먹이는 도중 말도 걸고 손발도 만져주고, 빰도 턱 쪽으로 쓰다듬어 주면 좋습니다. 그래도 먹다가 졸려하는 것 같으면 안아서 트림도 해주면 좋습니다. 그래서 졸려하면 물을 약간 적신 수건으로 아기 얼굴을 살짝 닦아 줘도 좋습니다.
먹다가 젖이 적게 나와도 아기는 젖을 물고 잘 수 있는데 어느 정도 먹어서 젖이 잘 나오지 않아서 젖 삼킴이 눈에 띄게 줄면 가슴을 누르면서 먹이면 젖이 더 잘 나와서 아기는 깨서 다시 먹을 수 있습니다.
먹는 도중에 아기가 말도 걸고 가능하면 눈도 맞추고 손발은 만지는 등의 반응을 하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먹다 잠든 아기 깨워서라도 한 번에 충분히 먹이고, 다음에 배고플 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려 주는 것이 아기를 쉽게 키우는 데 중요합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모빌사용과 주의사항 (0) | 2021.05.28 |
---|---|
신생아 비누와 샴푸해도 괜찮을까? (0) | 2021.05.27 |
신생아 배꼽 진물(고름) 어떻게 해야 하나? (0) | 2021.05.25 |
신생아 황달과 모유수유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1.05.24 |
어린이집 보내는 시기와 나이는? (0) |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