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신생아 모유량 분유량과 관리 주의사항

by 건강의 달인 2021. 3. 21.
반응형

신생아 모유량 분유량과 관리 주의사항

 

세상에 똑같이 생긴 아기는 없습니다. 신생아 시기는 새로운 세상에 적응하기 위해 엄마와 아빠의 보살핌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소아과 의사와 적절한 상담을 하는 것도 권해드립니다. 신생아 때의 관리와 성장이 아이의 평생을 좌우하니 부모님들은 육아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소아과 내원하기

신생아는 생후 1주일 내에 소아과에서 점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생후 4주 이내에 BCG(결핵 예방) 접종을 해야 합니다. BCG 접종은 흉이 적게 생기는 경피용과 일반적인 BCG이 있습니다. 주변에 있는 보건소는 대부분 BCG만 접종하니, 흉이 걱정된다면 병원에 소아과에 내원하여 경피용 BCG 접종을 맞으면 됩니다.

 

그리고 예방접종 카드는 잘 보관해야 합니다. 항상 다니던 소아과에 내원한다면 괜찮으나, 갑자기 병원을 옮기게 된다면 예방접종 카드로 그동안의 접종기록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접종기록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거나 외국으로 유학 갈 때도 필요합니다. 

 

 

 

신생아 모유량 및 방법

모유는 우리 아기에게 가장 최적화된 좋은 음식입니다. 일반적으로 두 돌까지 모유를 먹이게 됩니다. 

 

출산 후 2~3일은 모유가 잘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시기에 아기들은 적게 먹어도 괜찮습니다. 

엄마는 출산 후 처음부터 열심히 젖을 물려야 모유수유가 원활하게 됩니다. 만약 모유가 계속 안 나온다고 무조건 분유를 먹이는 것은 삼가시기 바랍니다. 최대한 모유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정 안되면 의사와 상담 후 분유를 보충하는 것입니다.

 

모유는 하루에 최소한 8~12회 먹어야 합니다. 신생아의 경우 정확한 시간 간격으로 먹이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몰아서 먹는 경우가 있기에 굳이 시간을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즉, 배고파할 때 충분히 먹이면 됩니다.

 

가급적 수유시 양쪽 젖을 다 물리 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모유 수유할 때는 최소한 10분 이상 물리고, 한쪽이 다 비워졌다면 다른 쪽도 꼭 물리셔야 합니다. 

 

젖을 물리는 최선의 방법은 깊숙이 물리는 것입니다. 만약 젖을 물렸는데 아프다면 수유 자세를 교정해야 합니다.

 

한밤중에도 모유수유를 하야 하고, 신생아가 밤에 4시간 이상 먹지 않고 잠만 잔다면 깨워서 먹어야 합니다.

 

만약 모유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모유양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한 가지 팁은 유축기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유를 빼내면 모유가 잘 돌 수 있습니다. 가급적 한약은 먹지 말아야 합니다.

 

신생아는 6개월까지 모유만 먹여도 충분하고, 최선입니다. 그린데 모유를 먹였더니 아기의 변이 묽게 나와서 젖이 묽은 것 아니냐는 엄마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묽은 모유는 없습니다.

 

 

 

신생아 분유량 및 방법

모유량이 적거나 직장맘들은 어쩔 수 없이 분유를 먹이게 됩니다. 지구 상에 어떤 분유도 모유만큼 소화가 잘 되는 것이 없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분유는 소화가 잘 안되기에 하루에 6~8회 정도만 먹습니다. 만약 배고파하면 분유를 먹이면 되고, 아기가 먹고 싶어 하는 만큼만 먹이면 됩니다. 

 

신생아 분유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정하게 분유량을 먹던 아기가 1일 2회이상 완전히 다 먹으면 먹는 양을 20~30cc 정도 늘려주면 됩니다. 

가령, 100cc를 먹이는데, 하루에 2번 완전히 먹으면 다음날에는 120cc를 먹이면 됩니다.

 

분유를 탈 때는 손을 씻어야 합니다. 분유는 70도 이상의 뜨거운 맹물에 타고, 40도 정도로 식혀서 먹으면 됩니다. 

 

분유는 갑자기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만약 꼭 분유를 바꿔야 한다면 1주일 동안 서서히 양을 조절하며 바꿔야 합니다. 

 

그리고 먹다가 남긴 분유를 먹이면 안됩니다. 특히 1시간 지난 것은 세균이 번식 우려가 있기에 아깝더라도 버려야 합니다.

 

 

 

신생아 수유 주의사항

신생아는 모유든 분유든 배고파할 때 먹이면 됩니다. 그리고 먹고 싶어 하는 만큼 충분히 먹이시기 바랍니다. 

수유 시 중요한 것은 배고파서 울기전에 먹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기가 배고프면 자다가도 낑낑대며 움직임이 많아지거나 입으로 먹는 시늉을 합니다. 그래도 먹을 것을 안 주면 울먹이다가 결국 울게 됩니다. 만약 울 때마다 수유를 하면 습관이 되어 아기는 빨리 울어버리게 되고 만약 다른 이상이 있어 우는 것과 분별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재우기 위해 수유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배고플 때 수유를 해야 합니다. 만약 4시간 이상 잠을 잘때는 깨워서 수유하시기 바랍니다. 

 

생후 2~4주 사이는 아기가 빨리 성장하는 시기로 수유량이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수유를 할 때는 평온하고 조용한 환경에서 하는 것을 권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수유 후 트림을 해야 합니다. 한번 했다고 바로 눕히면 안 되고 여러 번 할 수 있으니 트림을 유도해야 합니다.

 

만약 아기가 자주 먹는다면 굶겨서 수유 간격을 일부러 벌리면 안 됩니다. 만약 시간 간격을 벌리고 싶다면 한번 먹을 때 수유 양을 늘려 뱃고래를 키우는 방법으로 간격을 벌려야 합니다. 

 

수유중에 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신생아 육아 팁

신생아 울음

아기는 울음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합니다. 아기가 운다면 배고파서 우는 경우는 충분히 먹이고 기저귀가 젖었다면 갈아줘야 합니다. 배가 고픈 것도 아니고 기저귀 문제도 아니지만 이유 없이 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 울기도 합니다. 잠자기 전에 갑자기 울다가도 울다 지쳐 잠이 들기도 합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운다고 무조건 수유를 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이유 없이 운다면 엄마나 아빠의 품이 그리운 것입니다. 이때는 계속 안아주는 것이 해결책입니다. 그리고 아이가 울 때 부모가 안아주면 아기의 두뇌와 정서발달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어른들은 아기를 안아주면 버릇이 나빠진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이때 아기를 심하게 흔들거나 아기를 위로 올리면 안 됩니다.

 

 

신생아 수면

신생아는 1일 15~18시간 잠을 잡니다. 수유할 때는 정신이 말짱하고, 그 외 시간에는 비몽사몽입니다. 이때는 밤과 낮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부모는 가급적 밤과 낮을 구분하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 목욕

만약 배꼽이 안 떨어진 상태라면 통목욕은 금합니다. 일반적으로 통목욕은 1주일에 2~3회가 적당합니다. 그리고 얼굴에 비누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머리는 목욕할 때마다 감기면 됩니다. 남아의 경우 고추의 포피를 벗겨서 닦으려고 하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니 안됩니다.

 

 

녹색 변

녹색 변이 나와도 너무 묽거나 횟수가 많지 않다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모유를 주로 먹는 아기가 묽은 녹변을 보게 되면 모유를 짧은 시간만 먹여 모유가 처음 나올 때 나오는 전유만 많이 먹인 것은 아닌지 점검해야 합니다. 첫 모유는 당분이 많고, 뒤 모유는 지방이 많습니다. 만약 첫 모유만 먹이면 영양부족 등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천기저귀 종이기저귀

천기저귀와 종이기저귀를 사용하는데 핵심은 젖으면 빨리 갈아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엉덩이는 잘 씻고 잘 말려야 하고, 여아의 경우 앞에서 뒤로 닦아줘야 요로감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와 햇빛

아기는 6개월 이전에 햇볕을 쬐서는 안 됩니다. 피부암과 주름과 백내장 등이 유발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신생아와 안전

아기가 침구는 너무 푹신한 것을 깔거나 덮으면 안 됩니다. 그리고 아기가 있는 실내 온도는 20~25도 사이가 좋습니다. 

 

그리고 아기를 너무 심하게 흔들게 되면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목욕물은 37~40도 사이가 좋고, 목욕 중에는 절대 한눈을 팔아서는 안됩니다.

 

아기가 밤만 되면 울 수 있습니다. 영아 산통은 1개월부터 시작할 수 있는데, 너무 많이 운다면 소아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봐야 합니다. 

 

열이 나거나 기침을 한다면 소아과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기에게는 가벼운 병은 없습니다. 

 

 

소아과에 반드시 가야 할 때는?

▶ 열이 38도 이상이거나

 잘 먹지 않을 때

 황달이 나타날 때

 심하게 보챌 때

 경기를 하거나 의식이 또렷하지 않을 때

 토하거나 설사할 때

 몸무게가 잘 늘지 않을 때

반응형